기록

meta tag

해은 2020. 11. 22. 18:31

meta data란?

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.

웹 페이지의 저작자, 문자 인코딩 방식, 문서 내용 등 다양한 메타 데이터를 표현 하기 위해 사용된다. name과 content 속성의 쌍으로 구성된다. 그 밖에도 <link>, <title>, <style>, <script> 등이 있다.

meta tag 의 속성

charset

: 페이지의 문자 인코딩을 선언. 이 특성이 존재할 경우, 그 값은 반드시 문자열 "utf-8"의 대소문자 구분 없는 ASCII 표현이어야 한다.

content

: http-equiv 또는 name 의 특성의 값을 담는다.

http-equiv

<meta http-equip=“content-language” content=“ko>

: 기본언어 설정, ko 는 한국어

<meta http-equip=“content-type” content=“text/html; charset=UTF-8”>

: 문서의 MIME 타입이나 문서의 문자셋을 설정할 수 있다. MIME 타입을 지정한 다음 문자 인코딩을 지정하기전에 세미콜론으로 구분,

MIME 타입이란?
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된 문서의 다양성을 알려주기 위한 메커니즘입니다: 웹에서 파일의 확장자는 별 의미가 없습니다. 그러므로, 각 문서와 함께 올바른 MIME 타입을 전송하도록, 서버가 정확히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브라우저들은 리소스를 내려받았을 때 해야 할 기본 동작이 무엇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대게 MIME 타입을 사용합니다.

<meta http-equip=“default-style” content=“middle”>

<link rel=“stylesheet” media=“screen” href=“middle.css” type=“text/css” title=“middle”>

: 기본 스타일 시트를 설정. 이 속성을 적용하기 위해선 스타일시트를 지정할 때 아래처럼 title 속성을 정의 하여, 기본 스타일 시트 값을 지정해 주어야 한다.

<meta http-equip=“X-UA-Compatible” content=“IE-edge”>

: 브라우저 호환 설정. 브라우저의 문서모드는 지정할 수 있다. IE-edge는 최신 버전으로 문서모드를 설정하라는 뜻

<meta http-equip=“refresh” content=“20 ; http://tistory.com>

: 페이리 리로드 설정. 위와 같은 경우엔 20초 후에 티스토리 싸이트로 이동하게 됨. content 에 이동할 페이지를 지정하지 않으면 그냥 리로드(새로고침)이 된다.

<meta http-equiv="Expires" content="-1" />

<meta http-equiv="Pragma" content="no-cache" />

<meta http-equiv="Cache-Control" content="no-cache" />

: 캐싱을 방지

name

: name content 특성을 함께 사용하면 문서의 메타데이터를 이름-값 쌍으로 제공할 수 있다. name은 이름, content는 값을 담당한다.

 

출처: 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ML/Element/meta

 

 

'기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백엔드 용어 정리  (0) 2020.12.02
웹서버와 WAS  (0) 2020.11.30
프론트엔드 용어 정리  (0) 2020.11.22
자바스크립트 엔진  (0) 2020.11.22
dir=rtl 이 특수문자에는 먹히지 않을 때  (0) 2020.11.12